한림대학교의료원 의료인공지능센터, 한림대학교 뉴프론티어리서치연구소(NFRT),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, 두다지(주)는 최근 '인공지능 기반 위내시경 영상 자동판독 시스템' 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4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.
이번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상부위장관 내시경 영상을 이용해서 ▲조기위암 ▲진행성 위암 ▲암 전 단계병변(저도이형성 및 고도이형성) ▲양성병변 등 광범위한 병변을 자동으로 예측하고 분류하는 인공지능 기반 자동판독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용화 하는데 협력한다.
그 결과 인공지능 모델이 5가지 병변을 판독하는데 정확도가 84.6%로 나타났다. 인공지능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'곡선하면적(AUC, Area Under the Curve)' 점수에서 위암의 경우 '위암'의 경우 0.877, '위 신생물'의 경우 0.927로 나타났다. 이는 연구에 참여한 내시경 의사 중 일부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결과이며, 이 인공지능 모델이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.
조범주 한림대의료원 의료인공지능센터 센터장은 "현재 개발 중인 인공지능 모델이 실용화 된다면 기존 내시경 판독보다 객관적이고 일관적인 판독 결과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다"면서 "이 인공지능 모델이 빠른 시일 안에 내시경 전문의의 임상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소망한다"고 말했다.
한림대학교 뉴프론티어리서치연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젊은 의과학자 중점 육성 연구사업인 '임상의과학자 연구역량강화 사업'에 선정되어 4년간 3D 프린팅 기술, 빅데이터 분석 등 신 의료기술을 활용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.
두다지(주)는 인공지능 인프라 환경 구축과 딥러닝 영상 분석에 특화된 기업으로 연구진의 연구 성과에 기반해 상용화 모델 개발에 참여한다. 장종호 기자 bellho@sportschosun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