음식을 함께 먹거나 입맞춤을 하는 등 침을 나누는 행동을 한 사람 사이에서 도움이 이뤄질 것으로 더 큰 기대를 한다는 것이다.
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(MIT) 두뇌인지과학 교수 레베카 색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생후 18.5개월 미만의 영아를 대상으로 배우와 꼭두각시 간의 특정 행동을 보여준 뒤 반응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'사이언스'(Science)에 발표했다.
연구팀은 우선 꼭두각시가 한 배우와는 오렌지를 나눠 먹고, 다른 배우와는 공을 주고받는 것을 보여준 뒤 두 배우 사이에서 꼭두각시가 고통스러워하는 장면을 연출한 뒤 반응을 살폈다.
앞선 연구에서 새끼 원숭이가 울 때 구성원들이 어미 원숭이를 쳐다본다는 결과가 나온 점을 토대로, 영아가 곤경에 빠진 꼭두각시를 보고 먼저 쳐다보는 쪽에 도움을 기대하는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.
두 번째 실험은 침에 더 초점을 맞춰 진행했다. 배우가 손가락을 자신의 입에 댔다가 한 꼭두각시의 입으로 가져가고, 다른 꼭두각시에는 입 대신 손가락을 이마에서 이마로 갔다 댔다. 그런 다음 두 꼭두각시 사이에서 배우가 곤경에 처한 모습을 보이자 영아들은 입에 손가락을 댄 꼭두각시 쪽을 쳐다보는 경향이 높았다.
이런 결과는 영아들이 주변의 사회적 관계를 학습하는데 침의 나눔 여부가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.
논문 제1 저자인 애슐리 토마스 박사는 "사회적 관계를 학습하는 일반적인 기술은 매우 유용하다"면서 "영아 특히 더 오랜 기간 성인에게 의존해야 하는 인간의 영아에게 상호관계가 돈독한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한 한 가지 이유는 생존하기 위해 의지할 수 있는 도움을 줄 사람이 누구인지를 파악하는 좋은 수단이기 때문"이라고 설명했다.
eomns@yna.co.kr
<연합뉴스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