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희대 연구팀 "인지기능 개선효과…한국·미국서 동시 임상시험 추진"
(서울=연합뉴스) 김길원 기자 = 경희대 한의대 배현수 교수와 동아대 건강관리학과 김경화 교수 공동 연구팀은 체내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'조절 T세포'를 이용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동물실험에서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.
조절 T세포는 과도한 면역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중추신경계의 면역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퇴행성질환에 조절 T세포를 활용하려는 연구가 탄력을 받고 있다.
이 결과 주입한 조절 T세포가 중추신경계에서 선천성 면역을 담당하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을 억제해 쥐에서 인지기능 개선, 아밀로이드 축적 감소, 뇌 대사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. 미세아교세포기 활성화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해 뇌 속 신경염증이 발생한다.
배현수 교수는 "이번 연구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대한 조절 T세포의 강력한 치료 효과를 확인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퇴행성 뇌 질환에 대한 조절 T세포의 잠재력을 제시했다"면서 "최근 한국에서 임상 1상을 시작하고, 미국식품의약국(FDA)에서는 신규 임상시험(1/2a)을 승인받는 등 조절 T세포를 이용한 새로운 치매치료제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"고 말했다.
bio@yna.co.kr
<연합뉴스>